📚 KFLT 교육과정 및 인재양성
AI 시대의 창조적 언어 중재자를 양성하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번역전공
🔶 1. KFLT 교과과정 개요
KFLT의 교육과정은 단순한 번역 기술 습득을 넘어, 언어 구조의 이해, AI 활용 능력, 번역 품질 평가까지 아우르는 입체적·통합적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📌 교과과정 세부 분류
구분 | 교과목명 |
---|---|
기초 한국어 통번역 능력 함양 | 한국어학, 한국어 이해, 통번역이론, 문체번역연습, 발음연습, 대조언어학, 한중대조, 문장분석, 연구의 심화 |
AI 및 기술 응용 중심 | AI이해, AI번역, AI활용, Prompt 설계 |
PE 및 품질 평가 중심 | 비문학 PE, 고급 PE, 오류 분석, 평가 지표 연구 |
🔷 1.1 기초 한국어 통번역 능력 함양
- 한국어학 &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: 문법 구조와 번역 간극 이해
- 통번역이론: Skopos 이론 등 실천 적용
- 문체번역 & 문장분석: 다양한 문체 분석과 논리 흐름 이해
- 발음연습 I·II: 통역 기반 발화 훈련
- 대조언어학 & 한중대조언어연구: 언어 간 차이 이해
- 번역연구의 심화: 고급 이론, 번역 비평, 연구 역량 강화
🔷 1.2 AI 및 기술 응용 중심
- AI이해: GPT, NMT, Transformer 원리 학습
- AI번역 실습: Papago, Google, ChatGPT 활용
- AI활용: Co-translation 실무 모델 설계
- Prompt 설계: 통번역 업무용 LLM 프롬프트 작성
🔷 1.3 PE 및 품질 평가 중심
- 비문학 PE: 정보성 문서의 후편집 전략 실습
- 고급 PE: 감성 문체와 장르 조정 능력
- 오류 분석: 오류 분류 및 품질 진단 실습
- AI 협력 연구: AEMOS, METEOR, COMET 등 자동 평가 지표 이해
🌟 1.4 교육 목표
KFLT는 단순한 기술자 양성을 넘어서, 인문학과 기술의 조화 속에서 창의적 언어 중재자를 양성합니다.
🎓 2. 진로 및 인재 양성 목표
분야 | 직무 내용 |
---|---|
📝 전문 번역사 / 통역사 | 문학, 관광, 의료, 공공 등 분야의 번역 수행 |
🤖 AI 기반 번역 전문가 | PE 및 번역 품질 평가 전문가, 협업 번역 기획 |
🎮 로컬라이제이션 전문가 | 게임/앱/웹의 다국어 번역 및 문화 최적화 |
🌍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| 국제기구, NGO에서 문화 감수성 기반 번역 |
📚 교육 및 콘텐츠 기획자 | 교재 개발, 번역 교육 콘텐츠 설계 |
🧩 종합 직무 역량 프레임워크
- 언어적 정확성: Bilingual 능력, 문체 적응
- 기술 융합 능력: AI 도구 활용, PE 실습
- 문화 간 소통 능력: 문화소 번역, 맥락 해석
- 직무 실무 능력: 협업 전략, 디지털 환경 이해
- 윤리·소통 역량: 중립성, 책임성, 청중 맞춤 전략
✅ KFLT는 AI와 협업하는 창의적 중재자, 글로벌 콘텐츠의 전략적 번역가를 양성합니다.